본문 바로가기

수학/수치해석

[수치해석 05] 선형 대수 방정식

선형 대수 방정식

일련의 일차식의 합의 형태를 띄는 방정식. 변수를 보통 인덱스를 이용하여 표기한다

 

                        .....

 

  • a : 상수 계수
  • b : 상수
  • x : 미지수
  • m : 방정식의 개수
  • n : 미지수의 개수

 

행렬

하나의 기호로 표시되는 사각형 배열의 요소들로 구성. 

 

 

  • A : 행렬
  • a_{ij} : 행렬의 원소

행(row) : 수평으로 놓인 원소들의 모임

열(column) : 수직으로 놓인 원소들의 모임

 

a_{ij} 에서 i, j는 각각 행, 열의 위치를 나타낸다.

A 는 m개의 행과 n개의 열을 가지므로, 차원은 m x n

 

 

행벡터(row vector)

행 방향으로 전개되는 행렬

 

 

 

 

열벡터(column vector)

열 방향으로 전개되는 행렬

 

 

 

정방행렬(=정사각행렬, square matrix)

행의 개수와 열의 개수가 같은 행렬

 

 

  • 대칭행렬(symmetric matrix): 모든 i, j에 대해 a_{ij} = a_{ji}
  • 대각행렬(diagonal matrix) 주대각선을 제외한 원소가 0인 행렬 
  • 단위행렬(identity matrix) : 주대각선이 1인 대각행렬. 단위행렬은 행렬곱에 대한 항등원이다.
  • 상삼각행렬(upper triangular matrix): 주대각선 아래에 위치한 모든 원소가 0인  정방행렬
  • 하삼각행렬(lower triangular matrix): 주대각선 위에 위치한 모든 원소가 0인  정방행렬
  • 띠행렬(banded matrix): 주대각선을 중심으로 한 띠를 제외한 모든 원소가 0인 정방행렬

 

대칭행렬
대각행렬
단위행렬
띠행렬

 

 

주대각선(main diagonal)

행렬에서 행과 열의 index가 같은 성분

 

 

행렬의 연산 법칙

 

  • [A] = [B] iff a_{ij} = b_{ij} (모든 원소가 같으면 두 행렬은 같다)
  • [C] = [A] + [B] iff c_{ij} = a_{ij} + b_{ij} (연산 결과 모든 원소가 같으면 행렬은 같다)
  • [C] = [A] - [B] iff c_{ij} = a_{ij} - b_{ij}
  • 교환 법칙 : [A] + [B] = [B] + [A]
  • 결합 법칙 : ([A] + [B]) + [C] = [A] + ([B] + [C])
  • 스칼라 곱 : [D] = g[A] iff d_{ij} = ga_{ij}
  • 행렬의 곱 : [C] = [A][B] iff c_{ij} = sigma(k=1 ~ n) a_{ik}b_{kj}
  • 곱의 결합법칙 : ([A][B])[C] = [A]([B][C])
  • 분배법칙 :  [A]([B] + [C]) = [A][B] + [A][C]
  • 행렬의 곱은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음.

 

행렬의 곱셈

행렬의 곱셈은 첫 행렬의 열의 개수와 두번째 행렬의 행의 개수가 같은 경우에만 곱셈이 정의된다.

 

 

 

역행렬(inverse)

원래 행렬과 곱했을 때 단위행렬을 생성하는 행렬

 

 

 

전치행렬(transpose)

행렬의 행과 열을 바꾼 행렬

열벡터의 전치는 행벡터이다

 

 

 

확장행렬(Augmentation)

두 행렬의 행에 동일한 연산을 수행할 때 사용하는 행렬.

 

 

 

행렬을 이용한 선형대수방정식의 표현

 

 

상수 계수, 미지수, 상수끼리 각각 행렬을 구성, 이들의 곱셈 형태로 나타낸다.

 


 

그래프를 이용한 연립방정식 풀기

소규모의 연립방정식의 경우, 방정식을 그래프로 그리면, 교점이 해가 된다.

하나의 식 위의 모든 점은 해당 방정식을 만족하므로, 두 그래프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점을 찾는다.

 

 

특이 시스템(Singular System)과 불량조건(ill-conditioned System) 시스템 

특이 시스템

특이 값(singular value)가 너무 크거나, 무한으로 가는 경우.

해가 없거나 무한히 많은 경우

  • 두 직선이 평행하는 경우, 해가 없으므로 특이시스템이다.
  • 두 직선이 일치하는 경우, 해가 무한히 많으므로 특이 시스템이다.

 

불량조건 시스템

특이 시스템에 매우 가까운것. 해가 반올림 오차에 민감하여 구하기 힘들다.

 

 

행렬식(Determinant)

[A] 에 대한 행렬식은 |A|로 표기하고, 하나의 실수 값을 가진다.

행렬식은 정방행렬(정대각행렬)의 경우에 대해서만 구할 수 있다.

 

1 x 1

 

2 x 2

 

 

 

소행렬식 : |A|에서 i 행 j 열을 제외하고 만든 행렬식

 

 

여인수 : 소행렬식에 적당한 값을 붙인 것

 

 

 

3 x 3 : 3차 이상부터는 라플라스 여인수 전개를 이용하여 구한다.

 

행 또는 열은 마음대로 고를 수 있으며, 0이 많은 행 또는 열을 선택하는 것이 계산에 유리하다.

 

예시

 

 

특이 시스템은 행렬식이 0이다

특이 시스템에 가까운 경우(불량 조건), 행렬식이 0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