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forums.raspberrypi.com/viewtopic.php?t=366449
해결책
- sudo adduser srdp ssl-cert
- sudo nano /etc/X11/xrdp/xorg.conf
- 에디터 상에서 Option "DRMDevice" "/dev/dri/renderD128" 부분을 찾고, 뒷부분을 ""으로 수정
라즈베리파이에 xrdp를 설치하면 외부 환경에서 라즈베리파이에 GUI 기반으로 접속할 수 있다. 라즈베리파이 환경에서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이 브라우저 화면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나의 경우 초기에 xrdp 자체가 동작하지 않아 아래와 같은 설정을 추가했어야 했다.
https://forums.raspberrypi.com/viewtopic.php?t=367397
sudo sed -i 's#exec systemd-inhibit --what=handle-power-key /usr/bin/lxsession -s LXDE-pi -e LXDE#exec /usr/bin/lxsession -s LXDE-pi -e LXDE#g' /usr/bin/startlxde-pi
이후에는 xrdp 자체는 동작했지만, 웹 브라우저가 정상적으로 렌더링되지 않았다. 공식 포럼의 내용을 찾다 보니, 아래 옵션을 사용하면 해결된다고 한다.
- sudo adduser srdp ssl-cert
- sudo nano /etc/X11/xrdp/xorg.conf
- 에디터 상에서 Option "DRMDevice" "/dev/dri/renderD128" 부분을 찾고, 뒷부분을 ""으로 수정
위 설정을 추가하면 동작은 정상적으로 되지만, 화면 갱신 속도가 느려지는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DRM(Direct Rendering Manager)은 GPU와 통신하는 리눅스 커널의 하위 시스템으로, 앞에서처럼 설정을 바꾸면 화면을 그릴 때 구체적인 드라이버를 몰라 소프트웨어 가속을 하게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고 한다.
'잡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 node-red-node-pi-gpio 라즈베리파이 5에서 사용하기 (0) | 2024.08.09 |
---|---|
[라즈베리파이] 라즈베리파이5 node-red 연동 (0) | 2024.08.07 |
[vscode] .md 파일 깃허브 테마로 사용하기 (0) | 2023.08.14 |
[nginx] Location Priority (0) | 2023.04.21 |
[python] f-string(Literal String)과 string concatenation의 비교 (0) | 2023.03.13 |